청년내일채움공제라고 들어보셨나요?
청년내일채움공제란?
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하도록 청년, 기업, 정부가 2년 동안 함께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즉, 청년은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설계 기반을 마련할 수 있고, 기업 입장에서는 우수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
중소기업(5인 이상)에 취업한 청년이 2년간 300만원, 정부 600만원, 기업 300만원을 공동 적립해서 만기가 되면 1,2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요.
그러면 이러한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자세한 신청방법, 지원내용 등을 알아볼까요?
1. 지원대상
(청년)
-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
(학력 제한 없음,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졸업예정자 가능)
-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12개월 이하
(3개월 이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이력에서 제외)
(기업)
청년공제 가입 대상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일 기준,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
2. 지원내용
(청년)
청년 본인 2년 동안 300만원(매월 12만 5천원) 적립 - 정부 취업지원금 600만원 - 기업 300만원 공동 적립하여 2년 후 만기공제금 1,200만원+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.
(기업)
사업장 규모에 따라 채용유지지원금 지원
- 30인 미만: 채용유지지원금 기업지원금의 100%(300만원) 지원
- 30~49인 기업: 채용유지지원금 기업기여금의 80%(240만원) 지원
- 50~199인 기업: 채용유지지원금 기업기여금의 50%(150만원) 지원
- 200인 이상: 채용유지지원금 지원 없음
3. 신청방법
STEP01
(기업, 청년) 워크넷(청년공제 홈페이지)에서 참여신청
STEP02
(운영기관) 자격요건 심사 및 선발
STEP03
(기업, 청년) (운영기관 승인 후)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
STEP04
(기업, 운영기관) 주기별 지원금 시청
STEP05
(고용센터) 청년 및 기업지원금 적립 및 지금
STEP06
(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) 공제부금관리
STEP07
(중진공 → 청년) 만기공제금 신청 및 수령
4. 신청기한
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청약신청 완료(**필수)
5. 만기금 지급
- 대상: 계약 성립 후 공제가입기간(24개월) 이상 장기 재직한 청년
- 지급요건:
계약 성립 후 공제가입기간(24개월) 근속 후 청년 자기부담금/취업지원금/기업기여금이 모두 적립된 경우
- 지급신청: 청년 본인이 직접 하여 수급함
- 신청방법: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신청
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청년내일채움공제를 통해서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고, 청년들은 장기근속 및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길 기대해봅니다.
그 외 청년, 대학생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나 상품, 혜택들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.
'도비의 일탈 > 금융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놓치면 안되는 <대학생 청년도약계좌2023> 총정리 (0) | 2022.11.08 |
---|---|
대학생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모든 것 (0) | 2022.11.05 |
대학생 대출상품 총정리(비상금 대출) (0) | 2022.11.04 |
파킹통장(입출금통장) 금리 비교 총정리! (0) | 2022.10.15 |
정기예적금 특판 찾는 꿀팁! (0) | 2022.10.13 |